맨위로가기

마포구 (195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포구 (1958년 선거구)는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마포구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용산구 선거구와 통합되어 마포구·용산구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김상돈, 신상초, 박순천, 김홍일, 노승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동대문구 을 선거구는 1958년 신설되어 1963년 양주군 구리면 일부가 편입되기도 했으나 1973년 동대문구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이영준, 장준하, 유옥우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195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광주시 갑 (전남 선거구)
    광주시 갑은 1958년 신설되어 1973년 광주시 을과 통합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정성태 의원이 초대부터 8대 국회까지 지역구 의원을 역임했다.
  • 서울 마포구의 정치 - 마포구청장 선거
    마포구청장 선거는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구청장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로,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총 8회 치러졌으며, 선거 결과는 당시 정치적 상황과 유권자들의 의중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서울 마포구의 정치 - 마포구청장
    마포구청장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6년부터 1995년까지는 관선, 이후에는 주민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으며, 역대 구청장들의 정보는 본문에서 자세히 다룬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마포구 (195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마포구
의회국회
지도큰지도: 서울특별시
연도1958년
폐지1973년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마포구 갑
마포구 을
이후 선거구마포구·용산구
의원 수1인

2. 역사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마포구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용산구 선거구와 합쳐지며 마포구·용산구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1958년)

2. 2. 용산구와 통합, 선거구 폐지 (1973년)

3. 역대 국회의원

wikitable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마포구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김상돈 후보가 79.5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신도성 후보는 9.90%, 자유당 함두영 후보는 7.59%, 무소속 김우정 후보는 2.98%를 득표하였다.

4. 2.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상돈 후보가 77.66%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 무소속 박인출 후보는 5.91%, 사회대중당 김학규 후보는 5.10%를 득표하였다. 그 외에 무소속 오세경 후보는 3.96%, 자유당 류근홍 후보는 3.82%, 한국사회당 우문 후보는 3.51%를 득표하는 데 그쳤다.

4. 3. 1961년 재보궐선거

김상돈 의원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진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신상초 후보가 당선되었다.

4. 4.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박순천 후보가 67.6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박순천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지역구 국회의원이다. 민주공화당 변우창 후보는 17.42%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4. 5.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마포구는 179,938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했다. 신민당 김홍일 후보가 43.7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홍일은 독립운동가이자 군인,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민주공화당 김갑수 후보는 26.88%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민주당 조재천 후보는 21.73%, 통한당 오재영 후보는 5.83%를 득표했다. 그 외 한국독립당 오재식 후보는 0.92%, 민중당 박승현 후보는 0.81%, 통일사회당 안수추 후보는 0%를 득표했다.

4. 6.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마포구 선거구에서는 신민당 노승환 후보가 62,212표(49.90%)를 얻어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김현옥 후보는 61,201표(49.09%)를 획득하여 낙선했다. 국민당 고명관 후보는 601표(0.48%), 민중당 최진원 후보는 268표(0.21%), 통일사회당 윤영덕 후보는 266표(0.21%), 대중당 노초진 후보는 112표(0.08%)를 얻었다. 총 유권자 수는 197,918명이었고, 총 투표수는 124,660표였다. 노승환은 이후 국회부의장을 역임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